원문: How does power sound? Sonority of Bureaucracy in Everyday Life_Nina Dragičević

권력은 어떤 소리를 내는가? 일상 속 관료제의 음향성

니나 드라기체비치 (Nina Dragičević)

(2021년 10월 1일 Errant Bodies 스튜디오에서 발표한 강연 자료에서 발췌)

모든 것은 아주 이른 시절부터 시작된다. 사회에 편입되는 과정에서는 성별 결정, 세금 번호, 사회보장 번호 등이 요구된다. 그 다음은 교육 체계에 진입하는데, 이곳에서는 규율, 온순함, 복종이 비공식적이고 이념적인 교육과정의 일부로 자리잡는다. 이 모든 과정은 관료제에 의해 규제된다.

일반적으로 관료제는 선출되지 않은 채 정부 운영에 관여하는 다수의 사람들로 정의된다. 마르크스주의와 비판 이론에 따르면, 관료제는 “사무직과 같이 한 계급 내에서 구분될 수 있는 하위 계층이나 층이 아니라, 사회가 계급으로 분열되고 계급 투쟁이 일어나면서 그 기능이 공동 질서의 규칙에 대한 보편적 수용을 확보하는 데서 그 존재가 비롯되는 집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는 관료제를 ‘형식화된 지배(formalized domination)’의 메커니즘으로 이해할 것이다. 이 정의의 가장 폭넓은 의미에서, 관료제는 단순히 억압적 기구에 그치지 않고, “이데올로기가 개인과 그들의 실제 존재 조건 사이의 상상적 관계를 나타내며, 동시에 물질적 실체를 가진다”는 의미에서 이데올로기를 구조화하고 증폭하는 역할도 한다. 관료제가 편재함으로써 인구를 보편적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국가 정부의 억압적·이념적 입장을 형식화하며, 이러한 입장은 현 세계경제 체제 하에서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확증하고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사회적 음향성(social sonorities)’에 대한 비판적 청취이다. 즉, 특정 담론의 음향적 측면에 대한 관심과 관계의 음향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것, 즉 권력 관계가 어떤 소리를 내는지, 소리 내고 듣는 행위로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리고 반대로 소리내기와 듣기 행위가 권력 관계의 역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동시에 나는 이것을 엄격한 방법(method)이라기보다 바르트(Barthe)적 의미의 ‘예비 방법(pre-method)’이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는 여정의 엄격한 구조가 아니라, 끊임없이 시작되고 열리는 과정, 백과사전적 또는 사서적 접근을 통한 아카이브 탐색 방식으로, 소리 객체들의 리좀적(rhizomic) 모습 때문에 어느 한 시점에서 완성될 수 없는 접근법이다. 연구 대상 그 자체가 바로 이 접근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모든 음향 현상의 구성적 모습, 우연적 발생, 분산적 흐름, 구면적 거주, 예기치 않은 대상이나 우연한 주제, 특정 담화에 엄격히 포함되지 않은 자들, 심지어 침묵하는 대중에 이르기까지를 포함한다.

이 연구에서 나는 '거닐기(excurses)'를 통해 비판적 청취를 수행했다. 관료적 상황과 공간을 반복적으로 거닐며 소리를 들었으며, 그 과정에서 거닐기의 일관성과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유지하기 위해 몇 가지 제한 조건을 설정했다. 그 제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오직 공공 관료 상황에만 진입하며, 민간 기업의 상황은 배제할 것.
  2. 누구나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 공공 관료의 공공장소만을 관찰할 것.
  3. 소리적으로 극단적인 상황을 선호할 것 – 이는 연구자가 관료제의 음향적 작동 방식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고 서술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4. 구두 행위와 비구두 행위 모두를 관찰할 것. 단, 구두 행위 중에서는 모든 대화 당사자와 관찰된 행위의 청중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이루어진 사건에 한정할 것.

나는 실제로 이 제한 조건을 적어도 한 번은 벗어난 적이 있다. 예를 들어, 켄 로치 감독의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에서 다니엘 블레이크와 서기관의 대화를 분석했는데, 이 음향적 교환은 폐쇄된 공공 관료 공간 내에서 이루어지지만,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상황을 다루고 있어 공개적 사례로 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영화 스크린을 통해 대중에게 공개되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내가 수행한 거닐기에는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포함된다: